본문 바로가기

협업툴

All About Notion BASIC BLOCK Notion에서는 모든 문서를 구성하는 요소가 'Block'라는 단위로 구성된다. Block들이 모여서 Page를 이루는 형태다. Evernote와는 다르게 다양한 옵션과 형태를 가진 Block를 Notion에서는 제공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조금씩 더 추가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피드백을 잘 받아들이고 있다는 형태로 볼 수 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제일 기본이 되는 BASIC BLOCK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현재 업데이트 되어 있는 BASIC BLOCK는 13종류이다. 각각 명칭과 사용용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참고로 Notion에서 Block를 보여주는 단축키는 '/'다. Page의 빈 공간에서 슬러쉬를 입력하면 바로 메뉴바가 뜨게 된다. 첫 번째 'Text' Block 이 Block은 문서의.. 더보기
여행으로 Notion에 입문하다. Episode 03_Table을 이용한 간단한 수식 오늘은 전에 했던 Table에서 더 연장하는 형태로 계산식을 추가해 보는 것을 해보도록 하자. 엑셀처럼 다양하게 함수를 지원하진 않지만, 간략학 카운팅 및 평균, 합계정도는 바로 구현해 낼 수 있다. 클릭 한번에! 다른 블럭에서는 안되고, Table 블럭에서만 사용가능하다. 이 점 꼭 참고하길 바란다. +New보다 한칸 더 아래에 마우스를 가져가면, Calaulate라는 칸이 보인다. 이 칸을 클릭하면, 다양한 메뉴들이 보일 것이다. 지금 '금액' 옆에 '#'보이는 가? 이 부분은 해당 테이블의 속성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일자는 'Date' 내용은 Text, 태그는 Multi-Select, Etc는 'Text', Site 'URL' 이 처럼 옆에 기호만 봐도 해당 속성을 알 수 있으니 참고하자. 우리는 .. 더보기
여행으로 Notion에 입문하다. Episode 01_간단 서식 만들기 노션을 모든 내용들이 블록단위로 표현이 된다. 무료 플랜의 경우 1,000블럭이 초과할 경우 편집만 가능하고, 블록 추가는 불가능하다. 나는 어차피 Evernote를 1년 주기로 결제를 했기 때문에, Notion도 1년 결제를 진행하였다. 그래야 에버노트에서 넘어온 노트들이 수정이 가능했다. 그게 싫다면, 무료 플랜으로 미리 경험해 보고 괜찮다 싶으면 사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Evernote는 텍스트 기반, Tag 기반이라 검색 및 글이라는 자체를 작성하는 데에는 Notion보다 더 탁월하다. Notion은 텍스트 & 이미지 기반, Wiki기반이라 글을 순차적으로 작성하기 좋다. 글 안에 글안에 글들이 무한정 생긴다고 생각하면 된다. Notion의 작업 공간은 섹션, 페이지, 블록으로 구성된다. 섹션.. 더보기